예전에 유디엠을 소개한 포스팅에서도 이미 밝혔지만, 얼마전까지만 해도 스타트온(starton.co.kr)이라는 개인화 페이지를 꾸며서 바탕화면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. 바탕화면에서 각종 실시간 뉴스와 메일 확인, RSS구독, 메모, 그리고 문자 보내기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어서 편하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. 그런데 윈도우키+D (바탕화면 보기 단축키죠^^)를 누르게 되는 이유의 약 50% 이상을 사용하던 무료문자의 갯수가 월100개에서 월10개로 急축소되면서, 제 윈도우 바탕화면은 다시 초록색 밋밋한 화면으로 돌아갔습니다.
그러던 와중에 비슷한 서비스와 무료문자 월100건+_+을 제공하는 유디엠(udiem.com)을 알게 되어서 여러분께도 소개드리고, 저도 현재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. 아직은 BETA버전 이라서인지 여러가지로 부족한 점도 많이 눈에 띄는데요, 앞으로 좋은 서비스로 발전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허접하게나마; 사용기를 작성해봅니다. :) (상금이 탐나서;;라는 것도 이유겠죠? ^0^)
몇가지 메뉴가 있긴 하지만, '내 유디엠'을 꾸미는 것이 주 목적이므로 그곳에만 집중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^_^
커뮤니티형 위젯
개인형 위젯
생활형 위젯
정보형 위젯
업무용 위젯
역시 가장 유용한 위젯으로는 실시간문자 위젯을 들 수 있겠고^^ 택배조회나 지하철 노선도도 사용빈도수가 높을 듯 합니다. 비만도체크 위젯은 신선함에 비해서 그렇게 자주 사용될것 같지는 않구요. ^^;; 저처럼 외국과의 비즈니스 거래(;)가 있는 분들은 시계 위젯을 각 국가별로 만들어 두면 편리할 듯 합니다.
꼭 있었으면 하는 위젯으로는 실시간 포털 메인 뉴스 위젯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. :) 유디엠에도 뉴스위젯이 있긴 하지만, 경향신문 뉴스/매일경제 뉴스 이렇게 매체별로만 구분이 되어있어서 그때그때 포털에 걸려있는 메인 뉴스, 즉, 사람들이 많이 보는 뉴스가 뭔지는 잘 모르겠더라구요. 그리고 실시간문자위젯이 유디엠의 큰 부분인만큼 문자 전송을 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주소록 위젯도 있으면 좋을 듯 하구요.
자꾸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온(그리고 제가 쓰던 곳이라;)과 비교를 할수밖에 없는데요, 팟캐스트 위젯과 메일 알리미 위젯도 꼭 있었으면 좋겠네요. :D 그리고 유디엠은 한층 업그레이드된 '라이브방송' 위젯이 있는데 비해, 라디오나 다른 오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오디오 위젯은 없는 것이 약간 의아하네요.
원래 이렇게 생긴 아이콘인데, | 마우스 올리면 이렇게 됩니다. :) |
채찍은 필수!;;
그리고 베스트 유디엠!!은 현재 20개의 유디엠만이 공개가 되어있는데, 유저가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, 전체 사용자들끼리의 커뮤니티가 이루어지긴 어려울 것 같네요. 위자드닷컴의 공유센터처럼 유저들이 자신들이 만든 페이지와 위젯, RSS 등을 다양하게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 있으면, 더 재밌게 유디엠을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? ^_^
또한 아직 다양한 인터넷 브라우저에 대한 Feedback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. 파이어폭스(firefox)로 접속을 하게 되면, 회원가입부터 어려움이 있습니다. 그리고 한글이 안써지더군요.. 영어로 문자를 보내야 하는 압박이(!!!).. 파이어폭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웹브라우저에서 유디엠을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주세요!! ^^
마지막으로, 자동로그인이 필요합니다!! 요즘은 한번 로그인하면 문자를 보낼 수 있는 곳은 찾아보면 굉장히 많습니다. 저만해도 하나포스, 네이트온, 파란메일, 기타 등등 다 합치면 몇백개 됩니다;; 하지만 의외로 그 사이트에 찾아가서 로그인을 해야하는 작업이 굉장히 번거롭습니다. 유디엠은 자동으로 로그인만 된다면 페이지를 구성하고 시작페이지나 바탕화면으로 쓰는 사람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 봅니다.
게다가 RSS나 팟캐스트 구독이니 하는 부분은 어느정도 파워유저;들이나 쓸만한 기능들이라 불평하는 사람들은 아마 일부일 겁니다;; 대신 사람들이 많이 쓰는 메모기능이라던지 일정관리 등 기본적인 서비스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로딩 시간이나 자동 로그인 기능 등 기본적인 사용을 편하게 발전시켜 나간다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으리라 봅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
참고: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